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전체
  • 일반뉴스
  • 오피니언
  • 메타TV

인공지능 활용 소아 중이염 진단법 개발 "정확도 95%"

메디칼타임즈=이창진 기자인공지능을 활용해 소아에서 다발생하는 중이염을 정확하게 진단하는 임상결과가 나왔다.이비인후과 안중호 교수의 중이염 환자 진료 모습. 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 안중호 교수와 의공학연구소 권지훈 교수팀은 검이경 검사 사진을 활용해 귀의 중이 질환을 진단해내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실제로 적용한 결과 95% 이상의 진단 정확도를 보였다고 밝혔다.연구팀은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다중 분류 시스템 개념을 도입해 인공지능이 여러 개의 중이 질환을 함께 진단할 수 있도록 했다.지금까지 중이 질환을 진단하는 인공지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돼 왔지만 여러 중이 질환을 동시에 진단해낼 수 있는 인공지능은 없었다.예를 들어 중이염에 고막염까지 같이 생긴 경우 둘 다 함께 진단하지 못했다.환아들은 귀 전문의가 있는 이비인후과가 아닌 소아과에서 진찰을 받기도 하고 성인의 경우 가정의학과를 먼저 찾기도 하는데 여러 중이 질환을 함께 진단해낼 수 있는 인공지능을 활용하면 앞으로 진단 정확도를 더욱 높여 더 많은 환자들이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안중호 교수팀은 2018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검이경 검사를 받은 환자들의 6630장의 검사 사진을 활용해 중이 질환을 진단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개발했다.연구팀은 인공지능이 1차로 만성 중이염, 삼출성 중이염 여부를 진단하고, 2차로 중이염 환자에게서 흔히 나타날 수 있는 진주종, 고막염, 진균증을 함께 진단할 수 있게 검사 사진을 학습시켰다.이후 실제로 진단 정확도를 측정한 결과, 중이염은 약 95%의 정확도로 진단해냈으며 다른 질환들의 진단 정확도도 96~98%인 것으로 나타났다.권지훈 의공학연구소 교수는 "중이 질환을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해 지금까지 연구된 인공지능들은 한 개의 질환에 대한 진단밖에 할 수 없었지만, 학습 시스템을 통해 인공지능이 여러 질환을 한 번에 진단할 수 있어 추가 연구를 통해 실제 임상 현장에서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안중호 이비인후과 교수는 "아이들은 검이경으로 귀 검사를 하는 것이 쉽지 않아 아주 숙련된 귀 분야 전문의가 아니면 중이 질환을 놓칠 수가 있는데, 인공지능을 활용해 진단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연구성과를 설명했다.안 교수는 "인공지능을 활용해 환자들이 스마트폰으로 중이 질환 여부를 스스로 확인하고 병원에 가야 할 필요성을 쉽게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을 목표로 지속적으로 추가 연구를 진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플로스 원'(PLoS One, IF=3.752) 최신호에 게재됐다.
2022-10-26 11:07:28학술

VR의 놀라운 효능…수술시 프로포폴 사용 크게 줄여

메디칼타임즈=이인복 기자수술시 가상현실(VR)을 적용하는 것만으로 진정제 투여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특히 가상현실을 적용한 환자의 경우 수술실 체류기간도 크게 줄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임상 적용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가상현실을 이용하는 것만으로 수술시 진정제 사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현지시각으로 21일 국제 학술지 플로스 원(PLOS ONE)에는 가상현실 적용이 수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무작위 대조 임상시험 결과가 게재됐다(doi.org/10.1371/journal.pone.0272030).현재 미국에서는 손목 터널 증후군과 골관절염이 크게 증가하며 매년 50만건 이상의 수술이 이뤄지고 있다. 이중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이 바로 수술시 진정제 문제.대부분 국소 마취와 더불어 프로포폴과 같은 진정제가 투입된다는 점에서 저혈압이나 상기도 폐쇄는 물론, 호흡부전이나 심장마비와 같은 심각한 합병증 위험에 노출되기 때문이다.이로 인해 미국의사협회를 비롯한 의료계는 이같은 진정제 사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수시로 가이드라인은 제시하며 대안을 찾고 있는 상황이다.베스 이스라엘 디코니스 메디컬센터(Beth Israel Deaconess Medical Center) 연구진은 가상현실을 활용해 이에 대한 해법을 찾기 시작했다. 환자가 무언가에 집중할 수 있다면 진정제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에서다.이에 따라 연구진은 수술실에 들어온 환자를 가상현실군과 단순 진정군으로 무작위 배정한 뒤 그 결과를 비교 분석했다.가상현실군은 헤드셋과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을 착용하고 초원과 숲 등 휴식을 느낄 수 있는 환경이 설계된 360도 VR을 적용했다.그 결과 가상현실을 적용한 군은 평균 125.3mg/hr의 진정제가 사용됐다. 단순 진정군은 평균 750mg/hr의 프로포폴이 사용된 것과 비교하면 3분의 1도 되지 않는 수준이다.또한 가상현실군은 20%만이 시술 중 프로포폴을 추가 투여받은 반면 단순 진정군은 한명도 빠짐없이 진정제를 더 투입해야 했다.특히 가상현실군은 단순 진정군보다 평균 22분 일찍 수술이 끝나는 결과도 나왔다. 체류시간을 줄이는 부가적 효과도 있다는 의미다.제1저자인 브라이언(Brian P. O'Gara) 박사는 "단순히 가상현실을 접목한 것만으로 진정제 양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수술시간까지 단축할 수 있었다"며 "만족도와 수술 결과에 차이가 없었다는 점에서 효율성 증대에 매우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그는 이어 "이번 연구는 가상현실이 수술과 진정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첫 사례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향후 마취 가이드라인 등에 큰 영향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2022-09-22 12:00:00의료기기·AI

재발성 허리디스크 신경공 주사 치료 효과성 '입증'

메디칼타임즈=이창진 기자재발성 허리디스크에 신경공을 통한 주사 치료가 효과적이라는 임상 결과가 나왔다.왼쪽부터 이영준 교수와 이준우 교수. 분당서울대병원 영상의학과 이영준·이준우 교수팀은 22일 신경공을 통한 경막 외 스테로이드 주사가 수술 후 재발한 허리디스크 치료에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허리디스크는 척추 뼈 사이 디스크가 돌출돼 심한 허리 통증과 신경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이다.심사평가원에 따르면 허리디스크로 진료를 받는 환자는 한 해 200만명에 달한다. 환자 대부분은 약물 복용, 주사 치료 등 비수술적 치료로 통증 조절이 가능하다.수술적 치료는 극심한 통증이나 감각 이상이 지속되거나, 힘이 빠지는 증상이 생겼을 경우 시행한다.그러나 수술을 받아 증상이 호전되더라도 경과에 따라 디스크가 재발하는 '재발성 허리디스크' 환자의 비율 또한 낮지 않다.통계에 따르면 많게는 수술 환자의 약 23%에서 디스크가 재발하는데, 일정 기간 비수술적 치료에도 통증이 조절되지 않거나 위약이 진행되면 재수술을 결정하게 된다. 현재까지 디스크 수술 후 재수술률은 5년 내 13.4%로 보고되고 있다.수술을 받은 이력이 없는 보통의 허리디스크 환자에 가장 널리 사용하는 비수술적 치료는 허리디스크 주사, 신경 블록으로 알려진 경막 외 스테로이드 주사다.보통의 디스크 환자에는 높은 통증 조절 효과가 입증된 반면, 재발성 허리디스크의 경우 관련 연구가 매우 제한적으로 치료 효과에 대한 근거가 부족한 실정이다.연구팀은 신경공(신경이 지나는 구멍)을 통한 경막 외 스테로이드 주사가 수술 후 재발한 허리디스크의 통증 조절에 효과적이며, 재수술률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했다.2009년 1월부터 2018년 3월까지 허리디스크 수술 이후 심한 통증을 호소해 재발이 확인된 환자 7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했다.이중 ▲보존적인 치료만으로 호전된 환자 ▲수술 후 입원 중에 재발해 즉시 응급 수술을 시행한 환자를 제외한 나머지 37명에게는 신경공을 통해 주사 치료를 시행하고 예후를 관찰했다.그 결과, 해당 주사 치료를 받은 환자 37명 중 20명(54.1%)이 재수술을 받지 않고도 증상을 회복했으며, 치료 2주 후 환자가 느끼는 통증 강도(VAS)는 평균 6.6점에서 3.7점으로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효능이 증명된 수술을 받지 않은 일반적인 허리디스크 환자에의 주사 치료 효과와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확인됐다.또한 주사 치료에도 불구하고 재수술을 받게 된 환자들의 임상적 특성을 규명했다. ▲심한 통증과 더불어 감각이상, 위약을 호소하는 경우 ▲MRI상 디스크 형태가 뾰족하게 튀어나왔거나 흘러내린 양이 많은 경우 재수술 빈도가 높았다.이영준 교수는 "기존 허리디스크 주사 치료의 높은 효과성에도 불구하고 재발한 디스크 효과에 대해서는 매우 제한적인 연구만 있었다"면서 "재발 환자에 대한 실제 치료 효과를 영상학적 분석과 함께 살펴본 연구로 신경공을 통한 주사 치료의 효과를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고 평가했다.그는 "최근 척추 질환의 치료 경향은 점차 보존적인 형태로 나아가고 있다. 연구결과에 따라 재발한 디스크 부위에 신경공을 통한 주사 치료를 우선적으로 고려한다면 재수술에 따른 재활 치료나 후유증 부담 없이도 충분한 통증 완화 효과를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공공과학 도서관이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플로스 원'(PLOS ONE) 최신호에 게재됐다.
2022-09-22 11:35:47학술

진행성 암환자 복합증상 고려한 통합적 케어 필요

메디칼타임즈=이창진 기자 진행성 암 환자의 복합 증상을 고려한 포괄적 치료가 필요하다는 임상결과가 나왔다. 왼쪽부터 양은주 교수와 정승현 교수. 분당서울대병원(원장 백롱민)은 지난 24일 "재활의학과 양은주 교수와 국립암센터 재활의학과 정승현 교수팀이 진행성 암환자 459명을 대상으로 신체적, 정신적 증상과 함께 신체 기능상의 문제를 분석했다"고 밝혔다. 수술로 암을 제거하기 어렵거나 전이로 인해 완치가 불가능한 암을 '진행성 암'으로 불린다. 진행성 암환자는 암 투병으로 통증과 피로와 같은 다양한 증상을 경험한다. 연구결과, 진행성 암환자들의 복합적 증상은 지금 바로 느껴지면서 보여 지는 '신체증상'과 당장 느껴지기보다 기억이나 경험에 근거한 '경험증상'으로 확인됐다. 신체증상에는 통증, 호흡곤란, 손발 저림, 부종과 같은 증상이 포함됐으며, 이러한 증상들은 환자의 기능 및 장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악화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기력저하(기운 없음), 피로, 식욕부진, 디스트레스(암 환자의 정신적 고통)는 경험증상에 해당됐는데, 경험증상들은 기능 및 장애에 직접적인 영향 보다는 통증과 같은 신체증상을 조절하게 하면서 기능에는 간접적인 방식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통증이지만 피곤하고 기운이 없는 날 더 심하게 통증을 느끼는 것과 같은 이치다. 연구팀은 "신체증상과 경험증상은 서로 얽혀있으며 각기 다른 방식으로 신체 기능 및 장애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지금까지 암환자의 증상을 관리할 때 신체증상과 경험증상에 대한 구분이 없었던 만큼 증상들에 대한 통합적인 케어가 부족했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암환자가 통증을 호소하면 통증에 포커스를 맞춰 마약성 진통제를 투여하거나 신경차단술 주사로 치료하게 되는데, 이러한 약은 오히려 환자를 멍하게 하거나 졸음을 유발하고 피로 도를 높여 신체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삶의 질 저하로 이어지게 할 수 있다. 암환자 재활치료 계획을 설계할 때 단일 증상이나 기능을 관리하는 방식이 아닌, 복합적인 증상들이 기능과 상호 어떤 관계를 형성하는지를 이해하는 체계적, 포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양은주 교수는 "암환자가 호소하는 통증을 치료할 때는 혹시라도 약이나 주사가 우울감 혹은 피로감을 주지는 않을지 세심하게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어떤 상황이나 환경에서 통증을 더 많이 느끼는지 입체적으로 파악한 뒤 영양관리, 취미활동 추천 등 환자의 삶을 활기차게 만들어 주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국립암센터 정승현 교수는 "의학기술 발전으로 진행성 암환자의 생존율과 암 치료 후의 생존 기간 역시 연장되고 있는 만큼 재활과 지지의료에 대한 관심도 역시 높아지고 있다"며 "암 치료 중에 나타나는 증상과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계속해 이어진다면 암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학문성 성과를 인정받아 국제학술지 ‘플로스 원'(PLOS one) 2월호에 게재됐다.
2021-02-25 10:39:04병·의원

서울대병원 연구팀 "뇌졸중, 정상체중도 안심할 수 없다"

메디칼타임즈=이지현 기자 중년여성에서 비만보다 대사증후군이 뇌졸중 유병률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왔다. 좌측부터 조비룡 최호천 서영균 교수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조비룡, 최호천, 서영균(현 한림대 성심병원) 교수팀은 2007년부터 2014년까지 보건복지부가 실시한 국민건강영양조사를 기반으로 40세 이상 성인 2만5744명에 비만 및 대사증후군과 뇌졸중의 상관관계를 조사했다. 이 연구결과 40세 이상 여성은 체질량 지수에 의한 단순 비만보다 비만은 없지만 대사증후군이 있는 사람의 뇌졸중 위험이 2배 이상 높게 나왔다고 20일 밝혔다. 대상자 40세 이상 여성 15,098명 중 단순비만(MHO; metabolically healthy obesity)은 1,867명(12.4%) 이었고, 비만은 아니지만 대사증후군이 있는 여성(MONW; metabolically obese non-obese weight)은 2,623명 (17.4%) 이었다. 40세 이상 여성에서 MONW는 뇌졸중 유병률이 4.6%로 MHO의 1.4%보다 약 3.3배 많았다. 대사증후군은 복부비만, 높은 혈압과 혈당, 혈액지질수치 이상으로 정의된다. 겉으로 보이는 비만보다 말라 보이지만 이런 대사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이 더 위험할 수 있다. 조비룡 교수는 "체중과 체질량지수에만 너무 신경쓰지 말고, 정상 체중이라 하더라도 평소 기본적인 검진으로 뇌졸중 위험에 대비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 연구는 미국 국립과학도서관 학술지인 '플로스 원(PLOS ONE)' 최신호에 게재됐다.
2016-09-22 00:23:39병·의원

신플로릭스, 국내 허가사항에 19A혈청형 데이터 추가

메디칼타임즈=손의식 기자 GSK (한국법인 사장 홍유석)는 영유아 전문 폐렴구균 백신 '신플로릭스'에 19A 혈청형에 의한 침습성 폐렴구균 질환(IPD)에 대한 유효성 정보가 제품 허가사항(사용상 주의사항 중 기타사항)에 추가됐다고 2일 밝혔다. 대규모 임상시험을 통해 IPD 및 급성 중이염에 대한 효과를 입증한 신플로릭스는 실제 환경에서 접종 후의 IPD 예방에 대한 유효성 데이터를 축적하고 있다. 여기에는 캐나다와 핀란드, 브라질에서 실시된 백신의 시판 후 연구들에서 19A 혈청형에 의한 IPD 유효성 (effectiveness) 연구가 포함됐다. 캐나다 퀘벡 주에서 시행된 연구는 퀘벡 주 보건사회복지부의 지원 하에 2005년부터 2013년까지 순차적으로 필수예방접종에 도입된 3가지 폐렴구균 백신의 유효성을 분석했다. 연구에 따르면 신플로릭스와 13가 백신 모두 폐렴구균의 19A 혈청형에 의한 IPD 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결과는 세계적으로 권위있는 학술지인 백신(Vaccine)지에 게재됐다. 또한, 핀란드와 브라질에서 시행된 2개의 시판 후 조사 결과에서도 신플로릭스가 국가 필수예방접종 프로그램에 추가된 이후 두 국가 모두 폐렴구균의 19A 혈청형에 의한 IPD 발생 건수가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들은 세계적 학술지인 플로스 원(PLOS One)지와 란셋 호흡기 의학(Lancet Respiratory Medicine)지에 각각 게재됐다. GSK에 따르면 신플로릭스의 19A 혈청형에 의한 IPD 유효성은 3개의 다른 대륙에서 독립적으로 시행된 시판 후 조사에서 일관되게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했다. 한편, 신플로릭스는 다방면으로 입증된 예방 및 유효성 데이터를 바탕으로 세계 125개국 이상에서 허가 받았으며, 45개국 이상에서 국가 및 지역 필수예방접종 프로그램에 선택된 백신이다. 현재 시판되는 폐렴구균 백신 중 처음으로 미숙아 대상 임상시험을 통해 미숙아에 대한 적응증을 받아 재태기간 27주~36주의 미숙아도 접종 가능하다.
2016-05-02 21:22:43제약·바이오

국립암센터 박중원 박사, 간암 생존 예측 모델 개발

메디칼타임즈=이창진 기자 박중원 박사. 국립암센터(원장 이강현)는 11일 간암센터 박중원 박사가 간암 환자들의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간세포암종 환자의 한국형 생존 예측 모델(K-MESIAH, 케이메시아)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모델은 남병호 교수와 서울대 정숙향 교수 등이 공동개발한 것으로 국립암센터가 미국 메이요클리닉과 공동 개발했던 간세포암종 예후 예측 모델인 메시아(MESIAH)를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한 것이다. 이 모델은 간세포암종 환자를 처음 진단할 때 몇 가지 위험요인 정보(연령, 간 기능, 종양의 개수와 크기, 혈관침습과 전이 여부, 알파태아단백 수치, 병인 등)를 입력하면 환자의 1년에서 5년까지의 생존율을 계산할 수 있도록 하여 실제로 환자를 보는 임상의가 치료전략을 세우는 데 유용하게 쓸 수 있다. 박중원 박사는 "예후 예측 모델은 마치 일기예보에서 내일 비 올 확률을 예상해 일상생활을 준비하는 것과 유사하다"면서 "간세포암종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간세포암종 진료 가이드라인에 따라 치료를 한다는 전제하에 더욱 우수한 예측을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적 저명 학술지인 플로스 원(Plos One) 최근 호(지난해 10월호)에 게재됐다.
2016-02-11 09:58:56병·의원

한국, 임상의학 상위 1% 논문 10년간 161편 발표

메디칼타임즈=박양명 기자우리나라 임상의학 분야에서 상위 1% 논문은 세계에서 23번째로 많으며 서울대 약대 서영준 교수가 2003년 발표한 논문이 가장 많이 인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연구재단 조영돈 연구원팀은 최근 '주요국의 피인용 상위 1% 논문실적 비교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연구진은 2000~2010년 전세계에 발표된 피인용 상위 1% 논문 9만 8435편을 분석했다. 그 결과 우리나라 피인용 상위 1% 논문수는 1668편으로 세계 16위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 중 임상의학분야 논문은 161편으로 세계 23위 수준이었다. 1위는 미국으로 우리나라 보다 84배나 많은 1만 3525건에 달했다. 일본과 중국도 각각 964편, 412편으로 한국보다 더 많았다. 임상의학 분야에서 가장 많이 피인용된 논문은 서울대 약대 서영준 교수가 2003년 '네이처 리뷰 캔서(Nature Reviews Cancer)'에 발표한 'CANCER CHEMOPREVENTION WITH DIETARY PHYTOCHEMICALS'이라는 제목의 리뷰 논문이다. 642회 피인용 됐다. 또 2004년 단국대 식품영양학과 문현경 교수가 공저자로 참여해 란셋에 발표된 'APPROPRIATE BODY-MASS INDEX FOR ASIAN POPULATIONS AND ITS IMPLICATIONS FOR POLICY AND INTERVENTION STRATEGIES'인 것으로 조사됐다. 778회 피인용 됐다. 우리나라는 피인용 상위 1% 논문 점유율이 0.8%를 차지했으며 일본과 중국은 각각 4.6%, 2%로 더 높았다. 이들 논문의 평균 피인용수는 전체 평균 204.7 이었으나 우리나라는 이보다 더 낮은 147이었다. 일본은 210.6, 중국은 164.1이었다. 피인용 상위 1% 논문이 가장 많이 실린 학술지는 '뉴 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슨(NEJM)'으로 인용지수(IF)가 53.484이며 총 1766편이 실렸다. 란셋, 플로스 원(PLoS One), 미국의학협회보, 순환(Circulation)이 뒤를 이었다. 이들 의학지는 피인용 상위 1% 논문이 실린 학술지 상위 15개의 목록에도 그대로 이름을 올렸다. 여기에 임상암학회지(Journal Of Clinical Oncology)까지 포함돼 전분야에 걸친 학술지 상위 15개 중 절반에 가까운 6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1-11-29 11:42:06학술
  • 1
기간별 검색 부터 까지
섹션별 검색
기자 검색
선택 초기화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